7-물리 메모리 관리
메모리 관리의 개요 메모리 관리의 복잡성 메모리의 구조는 1B 크기로 나뉜다. 1B로 나뉜 각 영역은 메모리 주소로 구분하는데 보통 0번지부터 시작한다. CPU는 메모리에 있는 내용을 가져오거나 작업 결과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MAR)를 사용한다. 폰노이만 구조의 컴퓨터에서 메모리는 유일한 작업 공간이며 모든 프로그램이 메로리에 올라와야 실행이 가능하다. 운영체제도 메모리에 올라와야 실행할 수 있다. 운영체제를 비롯해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잡한 메모리 관리는 메모리 관리 시스템(Memory Management System, MMS)이 담당한다. 메모리 관리의 이중성 메모리 관리의 이중성: 프로세스 입장에서 작업의 편리함과 관리자 입장에서 관리의 편리함이 충돌을 일으키는 것 소스코드의 번역과 실행 저급 언어: 기계어와 어셈블리어같이 컴퓨터의 동작을 가장 직접적으로 표현한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