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급하게 수정 후 배포할 일이 발생했는데, 어떤 브랜치를 기준으로 수정해야될지 고민되는 상황이 있을 것이다. 또한 가장 최신 버전의 브랜치를 찾고 싶은데 찾기 힘든 경우도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가지 브랜치 전략이 만들어졌다. 그 중 대표적인 Git Flow, Github Flow, Gitlab Flow를 정리해본다.
Git Flow
항상 유지되는 2개의 메인 브랜치(master
, develop
)와 역할을 완료하면 사라지는 3개의 보조 브랜치(feature
, release
, hotfix
)로 구성되어 있다.
master
: 제품으로 출시될 수 있는 브랜치.develop
: 다음 출시 버전을 개발하는 브랜치. 상시로 버그를 수정한 커밋들이 추가된다.feature
: 기능을 개발하는 브랜치. 항상develop
브랜치에서부터 시작하게 된다. 기능 추가 작업이 완료되면develop
브랜치로 merge 된다.release
: 이전 출시 버전을 준비하는 브랜치.develop
브랜치에 기능 추가가 완료가 되었다면 QA를 위해develop
브랜치에서 만들어지는 브랜치다. QA를 진행하면서 발생하는 버그들은 여기서 수정된다.hotfix
:master
에서 발생한 버그를 수정하는 브랜치.
긴 호흡으로 개발하여 주기적으로 배포하고, QA, hot fix를 나누어 병렬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상황일 경우에 사용하면 좋은 모델이다. 하지만 너무 많은 브랜치로 인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GitHub Flow
GitHub의 pull request 기능을 이용한 전략이다. 배포할 수 있는 상태를 가진 master
브랜치를 둔다. 그리고 기능 개발, 버그 픽스 혹은 어떤 이유로든 master
에서 브랜치를 만들어 개발한 후 merge한다.
브랜치가 단순해서 이해하고 쉽고, 처음 Git에 접하는 사람에게 좋은 모델이다. 배포를 자동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는 배포, 환경, 릴리즈 등을 구분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GitLab Flow
Github flow에서 모델이 너무 단순해져 발생하는 문제를 보완한 전략이다.
마찬가지로 기능 추가, 버그 픽스 등을 master
브랜치에서 새로운 브랜치를 만들어 merge
시킨 후 릴리즈 또는 배포할 버전을 production
브랜치에 merge 시키는 방법이다. 앱스토어나 구글 플레이 같이 개발자의 의도대로 원하는 시기에 배포할 수 없는 환경에서 사용하면 좋다. 아래 사진과 같이 배포 전에 테스트를 해야된다면 pre-production 브랜치를 만들어 관리하는 방법으로도 만들 수 있다.
참고 자료
https://woowabros.github.io/experience/2017/10/30/baemin-mobile-git-branch-strategy.html
https://ujuc.github.io/2015/12/16/git-flow-github-flow-gitlab-flow/
https://nomad-programmer.tistory.com/39
https://docs.gitlab.com/ee/topics/gitlab_flow.html#squashing-commits-with-rebase
댓글남기기